읊은 연극제 ‘강물처럼’, 노무현시민센터의 다양한 공간이 주인공인 동시대 한국에 대한 청년 연극인들의 목소리

공간에 스며든 연극, 연극 속 캐릭터로 일하는 공간. 공간성을 중심으로 한 러닝타임 20분 안팎의 연극 5편을 봤다. 단편영화제는 수없이 봤지만 단편연극제는 처음이다. 그것도 공간을 매개로 공간과 상호작용하는 작품은 처음이기 때문에 팔짱을 끼고 맨 앞에 나란히 한 번, 뒤에서 한 번. 두 번을 종일 봤다. 공간이 주인공인 공간을 깊이 탐색하고 영감을 받아 창작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메시지는 가슴에 스며든다. 워낙 공간에 관심이 많고 공간의 힘에 휘둘리는 스타일이다 보니 이 작품을 통해 새롭게 공간을 인식하는 과정이 너무 재미있어서 시간 가는 줄 몰랐다. 아이들도 흥미진진하다. 자신이 만든 연극반에서 아이들과 어떤 작업을 할지 좀 더 많은 상상을 하게 됐다고 한다. 공간에 스며든 연극, 연극 속 캐릭터로 일하는 공간. 공간성을 중심으로 한 러닝타임 20분 안팎의 연극 5편을 봤다. 단편영화제는 수없이 봤지만 단편연극제는 처음이다. 그것도 공간을 매개로 공간과 상호작용하는 작품은 처음이기 때문에 팔짱을 끼고 맨 앞에 나란히 한 번, 뒤에서 한 번. 두 번을 종일 봤다. 공간이 주인공인 공간을 깊이 탐색하고 영감을 받아 창작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메시지는 가슴에 스며든다. 워낙 공간에 관심이 많고 공간의 힘에 휘둘리는 스타일이다 보니 이 작품을 통해 새롭게 공간을 인식하는 과정이 너무 재미있어서 시간 가는 줄 몰랐다. 아이들도 흥미진진하다. 자신이 만든 연극반에서 아이들과 어떤 작업을 할지 좀 더 많은 상상을 하게 됐다고 한다.

노무현시민센터에서 오늘까지 진행되는 제2회 짧은 연극제 ‘강물처럼’. 전석 무료다. 요즘 연극인들의 세상에 대한 문제의식과 창의력을 되새기는 자리. 관객 속의 연극, 연극 속의 관객. 관객 참여극을 이렇게 기획할 수도 있다. 전날 본 <나는 광주에 없었다>와 같은 맥락이 다른 표현이기도 하다. 연극 5편의 공통 주인공은 노무현 시민센터 공간 그 자체다. 지하 2층의 열린 공간이 주인공인 인류멸망사(극단 야바위작연출 표상아)는 한국 존망의 문제로 불거진 출산율 0.5% 시대의 노키즈존을 돌아보는 것으로 시작한다. 여전히 부동산 과열 등 한국 특화된 사회 문제는 결국 인류 멸망의 원인이 될 것이라는 경고다. 관객을 가장한 시민 배우들의 활약이 관전 포인트. 노무현시민센터에서 오늘까지 진행되는 제2회 짧은 연극제 ‘강물처럼’. 전석 무료다. 요즘 연극인들의 세상에 대한 문제의식과 창의력을 되새기는 자리. 관객 속의 연극, 연극 속의 관객. 관객 참여극을 이렇게 기획할 수도 있다. 전날 본 <나는 광주에 없었다>와 같은 맥락이 다른 표현이기도 하다. 연극 5편의 공통 주인공은 노무현 시민센터 공간 그 자체다. 지하 2층의 열린 공간이 주인공인 인류멸망사(극단 야바위작연출 표상아)는 한국 존망의 문제로 불거진 출산율 0.5% 시대의 노키즈존을 돌아보는 것으로 시작한다. 여전히 부동산 과열 등 한국 특화된 사회 문제는 결국 인류 멸망의 원인이 될 것이라는 경고다. 관객을 가장한 시민 배우들의 활약이 관전 포인트.

같은 지하 2층 DJ박스 같은 녹음 스튜디오가 주인공인 원서동 노래방(콩놀이클럽작연출 강훈구)은 오이디푸스로 명명된 노무현 대통령 재임 기간 최측근의 딜레마가 다큐멘터리 영화처럼 생생하다. 향수이기도 하고 슬픔이기도 한 당시의 딜레마를 청년 연극인들이 재현하면 현재진행형에 꽂힌다. 같은 지하 2층 DJ박스 같은 녹음 스튜디오가 주인공인 원서동 노래방(콩놀이클럽작연출 강훈구)은 오이디푸스로 명명된 노무현 대통령 재임 기간 최측근의 딜레마가 다큐멘터리 영화처럼 생생하다. 향수이기도 하고 슬픔이기도 한 당시의 딜레마를 청년 연극인들이 재현하면 현재진행형에 꽂힌다.

지하 1층을 생수공장, 계단석을 싱크홀로 바꾼 <싱크홀에 빠지지 않는 법>(극단 이명지, 극작 이진, 연출 김평조)은 환경 위기와 외국인 노동자 문제를 화두로 삼았다. 지하 1층을 생수공장, 계단석을 싱크홀로 바꾼 <싱크홀에 빠지지 않는 법>(극단 이명지, 극작 이진, 연출 김평조)은 환경 위기와 외국인 노동자 문제를 화두로 삼았다.

노무현 서재는 <책숨>(창작집단 해윰, 책숨연출, 연지아)으로 영혼의 안식처가 됐다. 노무현 서재는 <책숨>(창작집단 해윰, 책숨연출, 연지아)으로 영혼의 안식처가 됐다.

옥상과 카페는 <정지비행>(네버엔딩 플레이 정지비행, 극작 현호정, 연출 김남언)으로 아름답고 따뜻한 푸른 하늘로 변신한다. 옥상과 카페는 <정지비행>(네버엔딩 플레이 정지비행, 극작 현호정, 연출 김남언)으로 아름답고 따뜻한 푸른 하늘로 변신한다.

노무현 서재는 <책숨>(창작집단 해윰, 책숨연출, 연지아)으로 영혼의 안식처가 됐다. 옥상과 카페는 <정지비행>(네버엔딩 플레이 정지비행, 극작 현호정, 연출 김남언)으로 아름답고 따뜻한 푸른 하늘로 변신한다. 이 두 작품은 가족의 역할, 사회안전망에 대해 사유로 이끌어 관객의 눈물을 자아낸다. 관객의 입장에서 관찰한 관객의 반응도 다양하다. 초등학생과 노년의 부모를 동반한 3대 가족은 서로 이해한 내용을 설명하느라 바쁘다. 데이트하는 연인들은 조용히 속삭이고 청소년들. 중장년 동아리는 논쟁을 벌이는, 홀로 돌아보는 청년들과 중장년은 조용히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이 다양한 관객들에게 단순해 보이지만 심오한 단편 연극이 어떻게 기억될지 궁금하다. 노무현 서재는 <책숨>(창작집단 해윰, 책숨연출, 연지아)으로 영혼의 안식처가 됐다. 옥상과 카페는 <정지비행>(네버엔딩 플레이 정지비행, 극작 현호정, 연출 김남언)으로 아름답고 따뜻한 푸른 하늘로 변신한다. 이 두 작품은 가족의 역할, 사회안전망에 대해 사유로 이끌어 관객의 눈물을 자아낸다. 관객의 입장에서 관찰한 관객의 반응도 다양하다. 초등학생과 노년의 부모를 동반한 3대 가족은 서로 이해한 내용을 설명하느라 바쁘다. 데이트하는 연인들은 조용히 속삭이고 청소년들. 중장년 동아리는 논쟁을 벌이는, 홀로 돌아보는 청년들과 중장년은 조용히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이 다양한 관객들에게 단순해 보이지만 심오한 단편 연극이 어떻게 기억될지 궁금하다.

No language detected.

Please check the input language, no language detected.

Please check the input language.

Center Program | Roh Moo Hyun We invite you to the 2nd Short Theater Festival [Like a River] at the Civic Center! www.knowhow.or.kr Center Program | Roh Moo Hyun We invite you to the 2nd Short Theater Festival [Like a River] at the Civic Center! www.knowhow.or.kr

 

 

error: Content is protected !!